만촌동과외구하기 소선여중 수학과외 혜화여고 국어과외 영어과외 초등 중학생 고등 내신대비 일대일 대학생x 과외선생님 전문과외비용은요?
보상이 없어지는 순간 공부를 안 하게 되고 이런 위험성 때문에 다들 고민이 되게 많으실 것 같아요. 저는 기본적으로 보상을 줄 때 저의 관점은 뭐냐면은 보상을 안 좋다라는 거거든요 그니까 보상을 줬을 때 보상을 줘야 된다게 뭐냐 오늘은 좀 그런 얘기 한번 해 볼까 하거든요 정말 많은 학부모님들이 고민하실 것 같은데 왜 학생들이 공부하는 거 관련해 가지고 엄마 나 이번에 점수 몇 점 이상 나오면 또 뭐 몇 등 하면 뭐 해 줘 약간 이런 식으로 보상을 바 라고 그걸 또 이제 요청하는 학생들이 좀 있잖아요. 반대로 또 이제 부모님이 어떻게 보면 이거를 아이가 공부를 더 열심히 하기 위한 동기 부여에 어떤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그런 보상을 좀 활용하시는 분들도 이제 계실 거고요 근데 이제 이게 항상 그 고민이 되잖아요. 기준이라고 해야 될까요이 보상이라는 것도 적절하면 좋겠지만 또 뭔가 공부 그 자체를 아이들이 내가 공부를 해야겠다 하고 싶다라는 마음이 들어야 되는 건데 딱 그 보상에 초점을 맞추고 공부를 할 수도 있잖아요.부작용이 여기에 대해서 두 분이 이제 학원에서 아이들도 오래 가르쳐 보시고 하셨으니까 좀 그런 경험들을 좀 얘기해 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. 안 그래도 보상이라게 참 양날의 거미 아아 어떻게 보면 동기부여에 되게 좋은 수단인 거 같기도 하면서 또 이게 사실 외적 동기다 보니까 보상이 없어지는 순간 공부를 안 하게 되고 예 이런 위험성 때문에 다들 고민이 되게 많으실 거 같아요. 저희도 실제로 되게 많았었고 여전히 계속 고민하고 있는 주제이기도 한데 그래서 보상을 이제 공부에 활용하는 것이 좋냐라는 부분에 대해서 일단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저희의 생각은 상당히 도움이 많이 될 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. 근데 왜 그렇게 생각하냐면 제가 제가 생각하는 보상을 정말 잘 활용할 수 있는 첫 번째 포인트는 뭐냐면요 보상을 통해서 성공 경험을 만들어 주는 거예요 그 저는 기본적으로 보상을 줄 때 저의 관점은 뭐냐면은 보상을 한 번 주고 그냥 그게 1회성으로 끝나는 보상은 안 좋다라는 거거든요 그니까 보상을 줬을 때 뭔가 남는게 있는 보상을 줘야 된다 근데 이게 뭐냐 물건이 남는 걸줘라 이런 얘기가 아니라 보상을 줌으로써 얻게 된 효과가 오랫동안 앞으로도 남는 거 근데 그 중에 대표적인게 성공 경험이에요. 그 뭐냐면 저희가 사실 공부 동기부 있어서 공부 잘했던 애들 스스로 열심히 했던 애들의 특징은 뭐냐라고 했을 때 성공 경험이 있다는 거거든요 시험을 한번 잘 보면은 그 잘 봤을 때의 쾌감이게 있거든요 엄청난 성취감 근데 그걸 맛보면 그다음부터 아이들이 부모님이 시키지 않아도 그 다음 시험도 100점 받아서 기분 좋고 싶고 칭찬받고 싶고 누구 이기고 싶고 이런 마음이 자연스럽 들면서 그게 계속 이게 굴러가는 거잖아요. 근데 사실 그걸 한번 만들어 주는 거 자체가 쉽지 않은 면이 있어요. 아이들한테 그 아무래 너 한 번만 진짜 잘 봐봐 그럼 기분 너무 좋아라고 말을 해도 사실 그게 맛보기 전에는 모른단 말이죠 근데 그랬을 때 그거를 그 성취감은 말해줘도 애들이 맛보기 전까지 모르니까 애들이 원하는 다른 걸 걸어서 그걸 하게끔 만드는 거죠 예를 들어서 뭐 시험 너 100점 받으면은 뭐 해 줄게 아이가 뭐 맨날 막 뭐 사 달라고 하는게 있어요. 근데부모님 입장에서 무슨 경제적인 문제든 뭐가 다른 문제든지간에 약간 사줄까 말까 고민하고 있었던 무언가가 있었어요. 뭐 핸드폰일시정지 작은 거 말고 좀 큰 거예 여기서 전제 조건은 노력을 많이 해야만 달성할 수 있는 목표여야 돼요. 그렇게 해가지고 만약에 그 목표를 달성해 보잖아요. 그러면 일단 보상 받아서 기분 좋겠죠 근데 여기서 어떤 부수 적인 효과가 생기냐 두 가지 효과가 생깁니다. 첫 번째 본인이 의도했던 건 아니지만 그 잘 봤을 때 성취감이란 걸 느끼게 돼요. 어 나 지금까지 맨날 한 번은 100점 못 받아봤었는데 7 80점만 받다가 어 100점 받으니까 주위 사람들의 시선이 달라지고 나도 기분 좋고 이런 성공 경험을 하게 된다라는게 첫 번째 효과고 두 번째 효과는 뭐냐면은 노력에 대한 기준치가 달라져요 자기가 지금까지 해보지 않았던 수준에 노력을 보통 하게끔 돼 있어요. 그 전까지 노력을 안 했기 때문에 사실 그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던 거일 거거든요 그래서 예를 들어서 뭐 내가 시험 보기 전에 그전까지는 1 2주일 설렁설렁 공부하고 시험 봤던 거3주일 4주일 빡세게 해 본다든지 내지는 뭐 초등학생이라고 하면은 그렇게 뭐 한 달 동안 할 건 없다고 하더라도 내가 단원 평가 준비 아예 안 하던 거 내지는 뭐 진짜 하루 정도 겨우 하고 봤던 거 막 진짜 3 4일 동안 준비하고 쉬운 보게 되고 이런 것들을 하게 된다는 거죠 그래서 저는 보상을 거는게 성공 경험을 만들어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되게 효과적일 수 있다라고 생각합니다.네 그리고 방금 얘기했던 성취감 느끼게 해 줄 수 있다는 부분이랑 그다음에 노력에 대한 기준치에 대한 얘기랑 맞물려 가지고 애들 입장에서 해 보니까 되네 아는 경험을 하게 만들어 중게 되게 크다고 생각해요. 그러니까 예를 들면 뭐 전교 한 뭐 100등 하던 친구가 전교 30등 안에 들기 이런 거를 사실 해보기 전까지 그거를 본인이 할 수 있을지 없을지는 감조차 없는 애들이 많아요. 그러니까 할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없으니까 도전도 안 하게 되는 경우들이 되게 많은데 방금 이런 수단을 통해서 아 해 보니까 되네 그니까 하니까 되네라는 경험을 통해서 할 수 있다는자신감까지 만들어 줄 수 있다 사실 근데 이게 약간서도 얘기했던 것처럼 부작용도 있을 수 있잖아요. 그러니까 저의 경우인데 제가 이제 고일 때였거든요 제가 갖고 싶었던 신발 있어요. 그 당시에도 한 10년만 원 너무 갖고 싶었어요. 그래서 엄마한테 사 달라고 했더니 엄마가 너 이번에 뭐 5등 안에 들면 사 줄게 뭐 이런 식으로 얘기를 한 거예요 제가 5등 근처 언 저리도 못 가보고 전 진짜 한 20등 뭐 거의 뒤에서가 더 가까울 정도로 중간보다 조금 아래였던 학생이었는데 반에서 근데 그거를 해냈어요. 등을 했어요. 물 제가 그 사 주시더라고요 되게 좋았죠 근데 그 뒤로는 제가 그거를 또 이제 해 달라고 해도 부모님이 안 해 주시더라고요 그니까 물론 이제 장점도 있었지만 어 이거 또 안 해주네 약간 이런 느낌이 들더라고요 일단 첫 번째 부모님께서 그런 거 거의가 되죠 그죠 정말 생각지도 못했던 성적 달성하게 되잖아요. 그래 일단 이게 효과가 있 근데 두 번째 여기서 주의하셔야 될게 어 그게 말씀하신 것처럼 그 다음번에 그 보상을 주지 않았을 때 동기부여의저하로 연결이 되는 경우들이 있을 수 있잖아요. 요거를 방지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되는지 좀 말씀드려 볼게요 첫 번째 단순히 보상만 주는게 아니라 원래 걸었던 보상 외적인 보상을 더 많이 줘야 돼요. 그게 뭐냐면 칭찬이에요. 사등 하셨을 때 물론 칭찬 어느 정도 해 주겠죠 근데 그거에 대해서 물건 주는 것과 동시에 진짜 너무 기특하다 엄마가 너도 할 수 있을 거라고 믿었다 정말 이걸 달성하기 위해서 드렸던 노력들에 대한 어떤 인정이라 이런 부분들을 짚어주면서 이거 달성하기 위해서 매일 몇 시간씩 잠도 주러 가면서 이렇게 이렇게 고생했는데 제 그렇게 하니까 되지 않냐 진짜 너무 고생했다 앞으로 더 잘할 수 있을 거라고 믿는다 라든지 이런 식으로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드렸던 과정에 대한 노력에 대한 인정 그다음에 그 결과에 대한 칭찬 그다음에 어떻게 보면 부모님의 바뀐 태도 이런 것들을 보여 주시면은 그게 단순히 선물 받았고 다음 번에 설물 없으니까 이제 아내가 아니게 될 수 있다라는 생각이 하나 들고요 부모의 입장에서 보면은 어떻게보면 한번 건거 그 효과를 훨씬 키울 수 있는 방법들이 이런 거라는 거죠 그리고 나아가서 만약에 요런 부분들을 이제 다 인정도 해줬어요. 내적 동기도 어느 정도 생기고 성취감도 어느 정도 생겨서 전보다 어느 정도 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을 수 있겠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바할 수 있잖아요. 저는 그런 면은 그것도 활용할 수 있다 생각해요. 더 높은 목표에 대해서 걸면 되잖아요.